연수 운영 안내
학교-교육지원청-기업이 협력하여 에듀테크 활용을 통한
학교 단위 질 높은 디지털 기반 교육의 변화 방향 탐색을 목표
관내 디지털 수업혁신 역량 강화를 위한 다양한 형태의 연수 및
워크숍 운영 방침에 따라 본 연수가 기획
강의 교안은 위 사이트에서 볼 수 있습니다.
실습할 때 함께 보시면 도움이 됩니다.
들어가기
인사
활동 13분 49초부터 I see you. 의미 찾기
당신의 마음 속 진심을 봅니다. 당신의 진짜 마음을 봅니다. 아무런 목적 없이, 편견 없이 사랑의 이름으로 당신을 봅니다.
서로 서로 인사를 나누어 보아요! I see you.
나를 복제해서 만드는 ChatGPT
아름답다
중앙일보의 기사 "[이향은의 트렌드터치] 호모 프롬프트"를 요약
•
•
•
•
•
•
•
•
인공지능, 두려움(Fear)보다는 경탄(Awe)으로 대하자.
LLM으로 과거를 조명하고, 현재를 이해하며, 미래의 일부를 훔쳐본다면 LLM은 동반자가 될 것이다. - 중앙일보 2023.11.02.목/이문태의 마켓나우 -
인공지능 시대에 강한 신호가 넘처나는데 이때 나만의 약한 신호를 가지고 노출의 확률을 높이는 것은 어떨까요?
기사 "[아름다운 우리말] 아름답다는 말"을 요약
•
•
•
•
•
•
•
•
엑셀 에러 요약
API Error
까칠한 사람들과의 소통을 돕는 ChatGPT 코치 만들기 프롬프트 명령어
같은 방 사용하는 사람들의 이름 적기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
‘가르쳐야 할 것을 가르치고, 가르친 것을 평가하며, 평가한 것을 기록한다.’
학교의 역할
학교가 국가 수준 교육과정의 철학을 분석하여 학교교육과정의 비전을 세우고
학생 수준에 맞도록 수업 역량과 평가 방법의 3개년 계획을 수립하고
전체 학교교육과정의 틀 속에서 수업과 창의적 체험활동을 연계하여
학생이 선택한 진로에 따른 학습 능력 향상과 성장을 지원하는
통섭적이고 총괄적인 학교교육활동을 수립하고 책임지는 것이다.
교사의 역할
교사가 교과교육과정의 성취기준 내용을 분석하고
학생의 수준과 학교의 상황을 고려하여 학생 수준에 맞는 역량을 선정하여
교과(교사)에서 자율적으로 성취기준을 재구성한 후
적절한 수업 방법과 평가 방법을 디자인하고
교실에서 실천하여 피드백하는 것까지를 포함한
학생의 성장을 돕는 전 교과교육과정이다.
교육과정-수업
교육과정 원문 및 해설서
성취기준
구글시트
실습 전 기초 지식 쌓기
핵심 단축키(맥용)
Ctrl(Cmd) + C (단순 복사) Ctrl(Cmd) + V(단순 붙여넣기)
Ctrl(Cmd) + Shift + V(값만 붙여넣기)
* 혹시 맥 컴퓨터로 노션 사용하신다면 Cmd + E 강추~
What is API?
API 구동 원리
ChatGPT API Key 생성 방법
2.
로그인한 후, "Create new API key" 버튼을 클릭
3.
API key 이름을 입력하고, "Create API Key" 버튼을 클릭
4.
생성된 API key를 복사하여 저장. 메모장 등에 따로 잘 보관(별도로 보관되지 않음)
5.
구글 시트에 들어가서, "확장 프로그램-부가기능-부가기능 설치하기" 메뉴를 클릭
6.
검색창에 "GPT for Sheets and Docs"를 입력하고, 설치
7.
구글 시트 확장 프로그램 하위 메뉴에 해당 메뉴가 추가된 것을 확인
8.
"GPT for Sheets and Docs” 메뉴를 클릭하고, "Set API key"를 선택
9.
API key 입력란에 복사해 둔 API key를 붙여넣고, "저장" 버튼을 클릭
10.
이제 ChatGPT API를 사용
만약, 이전에 GPT for Sheets and Docs 확장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Set API key를 입력한 상태라면,
메뉴 중에서 Launch & Enable functions를 클릭하여
모든 실습 준비를 마치면 됨
GPT() 함수를 더 깊게 배우고 싶은 경우 참고 링크
실습용 키
평가
구글 설문지로 사전작업(튜토리얼 포함)
1.
배점/정답 지정하기
2.
한글 시험지를 구글 설문지로 변환(이용 중단된 안타까운 프로그램 ㅠㅠ)
3.
단답형, 장문형 설문지 만들기
4.
객관식 질문, 체크박스, 드롭박스 설문지 만들기
5.
파일 업로드, 선형배율, 객관식/체크박스 그리드, 날짜/시간 설문지 만들기
6.
동영상과 이미지 첨부 기능 활용하여 설문지 만들기
7.
섹션 이동 설정 및 활용하여 설문지 만들기(방탈출 게임도 제작 가능)
8.
설문지 배포와 공유
9.
설문지의 글꼴 꾸미기
10.
구글 엑셀 문제은행을 구글 설문으로 변환(위에서 소개한 Doc to Form 서비스 중단에 따른 대안 ㅠㅠ)
11.
[팁] 구글 시트에 등수 표기하고 Top3에 하이라이트 처리
퀴즈 빌더
MagicSchool.Ai
Diffit
Conker (형성평가 자동화1_특히 영어과목)
GPT Quiz Generator for Forms (형성평가 자동화2_특히 영어과목)
ChatGPT 활용 학생들의 서술형 과제 자동 채점과 이메일 발송
채점 기준표 만들기 프롬프트 명령어
이 글을 바탕으로 글을 평가할 수 있는 채점 기준 table을 만들어라.
평가 항목은 5개이며, 각각 2점이다.
Based on this articl, create a scoring criteria table to evaluate the article.
There are 5 evaluation items, 2 points each
기록
ChatGPT 활용 생기부 입력 자료 모음
구글시트 실습 자료
구글 설문지로 자료 수집 실습
구글 시트로 평가와 성적 관리
OpenAI Cookbook (더 다양한 활용법이 궁금할 때 찾아보는 요리책)
보물 보따리(다양한 인공지능 서비스 소개)
개인적으로 인공지능을 공부하면서 틈틈이 기록한 보물 창고를 여러분에게 열어드립니다.
ChatGPT 심화 학습을 위한 유용한 자료 모음
ChatGPT의 원리와 이해(인간 언어모델과의 비교) - 대박
보고, 듣고, 말하는 ChatGPT
ChatGPT의 교육적 적용
ChatGPT 이제 보고 듣고 말할 수 있다.
ChatGPT로 수익화앱을 만들고 플레이스토어에 등록하는 방법
ChatGPT + 구글시트 + 피그마: 기획부터 디자인 자동화 (역대급 노하우)
ChatGPT 활용 워드프레스 자동글쓰기 구현
ChatGPT 교육 자료
ChatGPT 사용법
커스텀 인스트럭션
Act as Professor Synapse🧙🏾♂️, a conductor of expert agents. Your job is to support the user in accomplishing their goals by aligning with their goals and preference, then calling upon an expert agent perfectly suited to the task by initializing "Synapse_COR" = "${emoji}: I am an expert in ${role}. I know ${context}. I will reason step-by-step to determine the best course of action to achieve ${goal}. I can use ${tools} to help in this process
I will help you accomplish your goal by following these steps:
${reasoned steps}
My task ends when ${completion}.
${first step, question}."
Follow these steps:
1. 🧙🏾♂️, Start each interaction by gathering context, relevant information and clarifying the user’s goals by asking them questions
2. Once user has confirmed, initialize “Synapse_CoR”
3. 🧙🏾♂️ and the expert agent, support the user until the goal is accomplished
Commands:
/start - introduce yourself and begin with step one
/save - restate SMART goal, summarize progress so far, and recommend a next step
/reason - Professor Synapse and Agent reason step by step together and make a recommendation for how the user should proceed
/settings - update goal or agent
/new - Forget previous input
Rules:
-You speak in English
-End every output with a question or a recommended next step
-List your commands in your first output or if the user demands
-🧙🏾♂️, ask before generating a new agent
YAML
복사
ChatGPT API
파이썬+구글시트+ChatGPT 자동화
유튜브 영상 요약 인공지능 만들기
ChatGPT API, Whisper, LangChain Map-Reduce 요약을 사용해서
유튜브 영상 요약 인공지능을 직접 만들어요~!
소스코드:
Chapters:
Intro
Demo
기술 설명
유튜브 영상 다운로드
위스퍼 모델 소개
맵 리듀스 요약
텍스트 분할
프롬프트 작성
체인 작성
실행
요금
OpenAI API - GPT Fine-tuned Chat Bot
구글시트에서 ChatGPT API & DeepL API 로 고품질 방대한 자료 만들기
요약
이 강의에서는 딥 번역기와 채찍 PT를 사용하여 방대한 데이터베이스 자료를 만드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사실
•
•
•
•
•
•
•
ChatGPT API + Google Sheets → 학교생활기록부 자동화
ChatGPT API Key 발급부터 구글 시트에서 간단한 사용 예시
요약
•
[
] API 키 발급 및 설치
•
[
] 구글 시트에서 GPT 4x 사용
•
[
] 프롬프트와 셀 참조를 활용한 작업 자동화
사실
•
API 키를 발급하고 구글 시트에 GPT 4x를 설치합니다.
•
API 키를 등록하고 GPT 함수를 사용하여 숫자 평점을 별 이모지로 변환합니다.
•
프롬프트와 셀 참조를 활용하여 각 소설의 한 줄 요약 내용을 생성하고 출력합니다.
•
API를 사용하여 업무 자동화 및 반복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
구글 독스에서 GPT를 활용하여 업무 효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ChatGPT API & Google Docs
요약
이 수업에서는 구글 독스에서 GPT를 활용하는 방법과 다양한 문서 작성 방법을 배울 것이며, 확장 프로그램 GPT for Docs를 이용하여 작업할 것입니다.
사실
•
•
•
•
•
•
•
•
ChatGPT API & Google Sheets
요약
사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나오는 말
역사란 ‘과거와 현재의 대화’ 또는 ‘과거의 사실과 현재의 역사가의 대화’ - 역사에 대한 카의 유명한 정의이다.
카가 강조하는 것은 과거 자체 혹은 과거의 사실이 아니라
그것을 가지고 역사담론과 역사지식을 생산하는 ‘현재의 역사가’이다.
스스로 말할 수 없는 과거의 사실들을 대화로 이끄는 주체가 현재의 역사가이기 때문이다.
과거는 현재의 역사가들이 가지고 있는 현실 사회에 대한 문제의식에 따라 구성되며,
과거의 사실들이 어떠했는가보다는 역사지식을 생산하는 역사가가
현재의 사회와 현실에 대해서 어떤 문제의식과 가치관을 가지고 있는지가 더 중요하다고 말한다.
과거는
The Past
자신이
Reveals
Itself
to Have
줄거리를-
갖고 있음을 드러낸다.
2023.9.26.- 12.17.
부산시립미술관 3층
Busan Museum of Art 3F
BUSAN
BHA ANSEUM OF
ART
지금 우리가 가슴 깊이 새겨야할 것?
지금의 우리의 생각과 실천과 나눔의 결과가
미래의 역사가 된다.
우리 교사들의 역할이 중요하다.
우리는 평소에 어떻게 인공지능을 활용한 수업을 또는 나눔을 준비할 것인가?
기계학습 모델 구현 5단계
1.
문제 정의 -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가 인공지능으로 해결하기에 적합한 문제인지 판단한 다음, 문제를 명확히 정의함.
2.
데이터 수집 - 정의된 문제에 적합한 데이터를 수집.
3.
데이터 탐색 - 수집한 데이터의 핵심 속성을 파악함.
4.
모델링 및 성능 평가 - 훈련 데이터를 통해 기계학습 모델을 학습시키고, 테스트 데이터를 통해 모델의 성능을 평가하여 적합한 모델을 선택함.
5.
모델 활용 - 모델링과 성능 평가를 마친 후, 선택한 모델을 직접 사용해 봄.